설치가 끝난 JENKINS에 접속해보자
젠킨스의 포트를 9090으로 설정하였으니
"http://서버 주소:9090"을 입력하여 접속

집사(?)가 기다리고 있다.
설치할 때 생성한 계정을 입력하고 로그인하고, Jenkins 관리를 클릭하여 Glogbal Tool Configuration 설정을 선택하여 전역 설정을 진행하자.

1. Maven 설정

기본 설정으로 한다
2. JDK 경로 설정

JDK를 설치할 수 도 있지만 서버에 설치된 JDK를 활용하자.
서버에 설정한 JDK Home Path를 입력한다.
Path 설정을 제대로 하였다면 아래 명령어를 통해 Path를 가져오자
# echo $JAVA_HOME
/usr/lib/jvm/java-1.8.0-openjdk-1.8.0.292.b10-1.el7_9.x86_64
설정을 하는 법은 이전 글을 참조
2021.05.27 - [IT] - Jenkins 깔아보자
Jenkins 깔아보자
설치 환경 cat /etc/redhat-release CentOS Linux release 7.9.2009 (Core) 공식 가이드문서는 아래를 참조 https://www.jenkins.io/doc/book/installing/linux/ Linux Jenkins – an open source automation serv..
selfi.tistory.com
가져온 Path를 아래와 같이 JDK를 설정한다.

경로가 맞지 않을 경우 친절하게 아래와 같이 표시를 해준다.

Git / Gradle / Ant 설정 등을 할 수 있지만 지금은 필요 없으니 나중에 하자.
3. Maven 경로 설정

서버에 설치한 Maven 경로를 입력한다.

하단의 Apply를 클릭하여 설정을 적용하자.
SVN을 통한 war 생성을 할 것이니 "Subversion Plug-in"과 Deploy to container"을 설치하자.

플러그인 관리를 선택하고

Search에 "Subversion Plug-in"과 Deploy to container"을 검색하고 플러그인을 설치하자.

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IntelliJ Spring Boot 시작하기 (0) | 2021.07.28 |
|---|---|
| Jenkins 설정 (2) - 배포 설정 (0) | 2021.05.28 |
| Jenkins 설치 (0) | 2021.05.27 |